추석정부지원금

민생안정대책

추석 지원금

2025 추석 명절 정부 지원금 및 민생안정대책 정리

2025 추석 명절 정부 지원금 및 민생안정대책 정리

2025. 10. 1.

다가오는 2025년 추석, 정부와 여당이 함께 발표한 민생안정대책은 그 어느 때보다 포괄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대책은 단순한 일회성 지원이 아니라, 물가 안정 → 금융 지원 → 내수 진작 → 국민 안전까지 전 방위적 접근을 통해 서민들의 부담을 덜고 경기 회복의 흐름을 생활 현장으로 확산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요약


  1. 성수품 물가 안정


1) 공급 확대

추석 차례상에 주로 오르는 21개 품목을 역대 최대 규모로 공급한다고 정부가 발표했어요.


2) 900억원 할인 지원으로 최대 50% 할인

: 역대 최대 900억원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에 투입, 온·오프라인과 전통시장에서 추석물가 부담을 크게 덜어줍니다.


  • 온·오프라인 : 유통업체별 매주 1인당 최대 2만원, 주요 성수품 최대 50% 할인

  • 농축산물 : 정부 할인 지원 20%
    생산자·유통업체 등 자체할인 ~20%
    사과, 배 소고기 등 추석 성수품 최대 40% 할인

  • 수산물 : 정부 할인 지원 20%
    생산자·유통업체 등 자체할인 30%
    명태, 고등어, 김, 제수용품 등 최대 50% 할인



할인 행사 기간 및 참여처
  • 농축산물 : 9월 15일(월) ~ 10월 5일(일)

  • 수산물 : 9월 17일(수) ~ 10월 12일(일)

  • 참여처 : 대형마트, 중소형마트, 온라인몰(11번가, 카카오, 컬리 등), 전통시장 등




  1. 온누리상품권 혜택

전통시장 이용객을 위한 특별한 혜택도 준비되어 있어요.


▶ 온누리상품권 현장환급 확대
  • 참여시장 대폭 확대: 농축산물 200개, 수산물 200개 시장

  • 환급방식: 농축산·수산물 각각 구매액 구간별 차등 환급
    (3만4천원~6만7천원 → 1만원 환급)
    (6만7천원 이상 → 2만원 환급)


  • 환급 기간 : 10월 1일(수) ~ 10월 5일(일)

  • 이용방법 : 당일 시장 구매 영수증 지참 시 현장에서 즉시 환급



▶ 제로페이 상품권 특별 할인

농할상품권 및 수산대전 상품권 확대 발행 및 20~30% 할인 판매
판매일 : 농축산 9월 22일(월)~9월 30일(화)

  • 수산 9월 11일(목)~10월 2일(화) 매주 목요일 2회

  • 농축산물 : 30% 할인, 기간 내 1회 3만원 한도

  • 수산물 : 20% 할인, 기간 내 1회 2만원 한도


※ 수산물 제로페이 모바일 상품권은 전통시장 배달앱·온라인몰에서도 활용 가능



▼ 참여 전통시장 확인

농축산물 참여 시장 : https://sale.foodnuri.go.kr/ft/market/list.do


수산물 참여 시장 : https://www.fsale.kr/bbs/board.php?bo_table=onnuri1




  1. 소상공인·중소기업 금융 지원

  • 명절 자금 43조 2천억 원 지원 (역대 최대)

  • 체불임금 청산 지원 → 체불임금 청산 지원 융자 금리 한시적 인하

  • 체불 우려 사업장 집중 점검

  • 금융위, 취약차주 장기연체 채권 매입·소각, 채무조정 확대


👉 자금난으로 힘들었던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숨통을 틔워줄 전망.



  1. 여행·문화·교통 지원

추석숙박쿠폰과 다양한 여행 혜택으로 지방 경제 활성화에도 나섭니다.


▶ 휴가지원

특별재난지역편 숙박쿠폰 15만장 발행

  • 사용기간 : 1차 8월 20일(수)~10월 30일(목) / 2차 11월 3일(월)~12월 7일(일) 차수별 1인당 1매

  • 혜택 : 7만원 이상 숙박상품 5만원, 7만원 미만 상품 3만원 할인

  • 대상지역 : 경기, 경남, 경북, 울산, 충남, 충북, 광주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전라남도 내 31개 특별재난지역



▶ 교통편의

도로·철도·항공·선박 등 이용료·주차비 면제 등 지원


▶ 문화휴양
  • 관광지 개방 : 궁·능·유적기관(10. 3.~10. 9.), 미술관(10.5.~10.8.) 무료 개방

  • 국립자연휴양림(10.6.~10.8.) 입장료 무료

  • 국립수목원(10.3.~10.9. 추석 당일 휴원) 입장료 무료


▶ 연휴 전후(10.2.~10.9) 할인 지원
  • 고속도로 휴게소 구매 영수증 지참 시 지역 관광명소 최대 60% 즉시 할인

  • 40개 농촌 관광상품 30~50% 할인




  1. 부처별 맞춤 지원

  • 고용노동부: 임금 체불 청산 집중기간 운영, 산업재해 취약분야 점검

  • 해양수산부: 수산물 할인행사, 여객선 터미널 주차료 면제

  • 문체부: 문화·관광 쿠폰 확대, APEC 연계 지방 소비 촉진

  • 농식품부: 500억 원 규모 농축산물 할인 행사


👉 각 부처별 세부 대책으로 생활 전반에 촘촘한 지원망 제공.




  1. 소비쿠폰 확대 지급

  • 9월 22일부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 사용처 확대 → 소규모 상점·골목상권까지 포함

  • 정부, 현장 혼선 방지 위해 사전 준비 강화


👉 소비자 체감 혜택↑, 소상공인 매출 증가 효과↑.




이번 추석 민생안정대책의 의미

  • 종합적 접근 : 물가, 금융, 내수, 안전을 모두 아우르는 전방위 대책.

  • 실수요자 중심 : 서민·취약계층·소상공인 맞춤형 지원으로 체감 효과 극대화.

  • 지속성 강화 : 일회성 지원이 아닌 경기 회복 흐름이 생활 현장까지 확산되도록 설계.




정리하며…

이번 추석 정부 지원금 및 민생안정대책은 서민들의 명절 장보기 부담 완화 → 소상공인 금융 숨통 확보 → 여행·문화·교통비 절감 → 취약계층 보호라는 선순환 구조를 노립니다. 정책 발표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실제로 국민들의 삶에 체감되는 효과를 내는 것이 관건입니다.


따뜻한 정책이 따뜻한 명절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하며, 이번 추석이 모든 국민들에게 경제적 부담은 덜고 가족과 함께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